경영실천

공단의 윤리·인권경영 추진 활동을 소개합니다.

윤리경영 추진실적(2012)

  • 정부표창수상(2건) : 국민훈장 목련장,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표창(‘12.2.29)
  • 글로벌스탠다드(ISO 26000, IFRS) 윤리경영 도입 준비
  • 재무리스크관리시스템 구축 및 재정영향평가제도 도입 등 예방적 윤리경영시스템 구축
윤리경영 추진실적의 분류, 내용에 관한 표
분류 내용
윤리경영
인프라 정비 및 운영
  • 윤리경영 추진조직의 전사적 확대를 통한 실행력 제고
    • 실·국 및 소속기관별 '청렴지킴이'를 통한 윤리경영 프로그램 운영
  • 윤리경영 강화를 위한 내규의 전사적 개선
    • 공단 내규의 합리성, 청렴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조정: 내규 통폐합(170개→107개 축소), 내규공개 확대(공개율: 12년 92%)
글로벌 스탠다드 윤리경영 기반마련을 위한 ISO 26000, IFRS 도입 준비
  • ISO 26000과 IFRS 도입을 준비함으로써 지속가능경영의 방향성 제시
  • ISO 26000 추진단 구성(‘12.10월), 이해관계자 중대성평가(‘12.11~12월)
    → (‘13~‘20년) 지속가능경영전략체계수립, 지속가능 보고서 제출(‘13.3사분기)
  • 이행수준 진단 결과 : 782점 획득(1000점 만점)
예방적 윤리경영시스템
구축을 위한
윤리경영문화 정착
  • 임원의 윤리경영 의지표명 및 솔선수범 활동
    • CEO 윤리경영 실천결의문 낭독(7.12), '사회적 책임'의 강조
    • 고위공직자 청렴도 평가 대상 확대(임원 및 본부 전 실ㆍ국장으로 확대)
    • 업무추진비 매월 공개, 감사 전국 순회교육(6회 212명)
  • 내부직원 윤리경영 공감대 형성을 위한 노력
    • 청렴(7,0)Day 도입(8.22, 신규), 제2회 지속가능경영 사진공모전(11.14~12.5)
    • 제2회 윤리경영 페스티벌 개최로 참여형 윤리경영 프로그램 강화(7.12)
      : 윤리경영 아이디어공모, 샘물경영실천결의, 윤리경영 실천 우수 직원 선정(신규)
  • 외부이해관계자 윤리경영 공감대 형성을 위한 노력
    • 『청소년 투명사회 만들기』 발표대회 공동대회(10.13)
    • 두 번째 『지속가능성보고서』제출(‘12.6월)
      : UN Global Compact 10대원칙 이행실적을 UNGC에 등재하여 공유
    • 『명절선물근절 캠페인』 실시(‘11년도 권익위 반부패 우수사례 선정, ‘12.9월)
    • 해외취업 유관기관 청렴교육 실시(총 10회, 총 460명)
    • 윤리경영 우수사례 타 기관 전파(5개 공공기관)
  • 임직원의 윤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
    • 전 임직원 윤리경영 사이버교육 수료, 단계별 청렴교육(신규임용, 승진 등)
    • 부패 취약 분야 분야별 교육(인사, 예산, 보조금 지급 담당자 대상 윤리교육)
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
  • 예방적 관리제도 운영 노력
    • 재무리스크관리시스템 구축(개선), 재정영향평가제도 도입(신규)
    • 클린카드 상시모니터링 시스템 및 내부공익신고제도, 부패영향평가 제도 운영
  • 직원 참여형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 강화
    • 윤리경영 자가진단(신규, 6.12~20), 청렴지킴이 위촉 및 청렴결의서 도입(신규)
    • 샘물마일리지 운영(윤리경영활동에 대하여 인센티브 제공)
윤리경영 지속적인
모니터링을 통한
부패방지강화
  • 주기별 다양한 윤리경영 모니터링 시스템 상시 운영
    • 실시간 과제관리시스템, 현장경영회의(매주)
    • 경영전략회의, 12대 VOC 주요사업 만족도 조사 개선(매월)
    • 청렴옴부즈만 운영협의회(분기별), 윤리경영위원회(반기별)
    • 공공기관 청렴도 조사, 반부패 경쟁력 평가, 고객만족도 평가(연간)
  • 자체 윤리경영지수(HRD KEDEX) 측정을 통한 윤리경영 종합성과 분석
    : 86.35점(‘09년) → 87.71점(‘10년) → 89.27점(‘11년) → 89.57점(‘12년)
  • 12년도 청렴도 취약항목에 대한 개선방안 수립
    • 인사, 예산, 부당업무 지시 등 항목별 개선과제 도출(‘13.1월)
내부견제를 위한
HRD-Korea SMART
감사 체계 운영
  • SMART 감사 기반 구축
    • 감사규정시행규칙 및 감사사례집(12.7), 감사운영위원회(연 14회 운영)
    • 감사자문위원회(6.21, 12.6), 감사매뉴얼(12.9)
  • SMART감사를 위한 사전 예방적 감사시스템 강화
    • 역량 증대를 위한 감사전문성 강화: 상임감사 최고감사인 자격(AAP)취득(‘13.2월), 내부감사전문가 취득 (‘12.8월), 내부 통제평가사(CFO아카데미 7명)
    • 전문감사인 및 외부전문가 확보 (경영지도사 공인노무사 외국인고용 전문 각 1명, 정보화 시설공사 각 1명)
    • 내부통제시스템 기능강화: 일상감사 강화(전년대비 40.8% 증가), e-감사시스템 강화(위험경보건수 감소
      : 6980건(‘11년)→623건(‘12년)), 내부공익신고 매뉴얼 개정(‘12.11월), 명절선물반송센터 운영(82건)
    • 반부패 청렴의 조직문화 형성: 신문고 운영, 청렴지킴이 활동(40명), 흥사단 협약(371명 윤리교육), 청렴 결의서 및 청렴DAY(7,0), 반부패신고 현수막 제작
    • 감사업무 교류협약 체결(한국장애인고용공단)
  • SMART감사를 통한 경영지원 강화
    • 선택과 집중에 의한 효율적인 감사 운영
      : 자율감사(22건), 특정 및 종합감사 결과(개선ㆍ의견 79건, 재정조치 373백만 원)
    • 방만 요인 예방감사로 경영지원
      : 해외취업연수 예산집행 문제점 특별감사 실시(해외취업연수 예산부족문제 해결)
    • 감사결과(263건 조치) 및 감사활동 성과분석(신분 8건, 재정 372백만 원 조치)
    • 감사원 자체감사 평가 우수기관 선정(‘12.6.7)
    • 기획재정부 상임감사 직무수행실적평가 A등급 기관 선정(‘12.6.1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