윤리·인권경영 체계 고도화 |
- 사적이익을 위한 직위이용 금지에 대한 임직원 행동강령 개정
- 승진, 인사 등 전 과정에 청렴성을 핵심지표로 반영
- 인권경영 운영지침 제정
|
예방적 윤리경영 활성화 및 조직 문화 정착 |
- 청렴윤리 참여활동
- 연극공연 등 참여형 인권·윤리경영 페스티벌 개최
- 권익위원회 찾아가는 청렴콘서트 개최(289명)
- 청렴소통 활동강화
- 윤리청렴에 대한 샘물메시지 51건 전파
- 임직원 청렴 감사 서한 SMS 문자 발송
- 청렴소통우체국 3개 운영,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
- 맞춤형 청렴윤리 교육으로 내재화 촉진
- 신규직원 청렴역량 강화 교육 실시(72명)
- 보직자 청렴강사 양성을 위한 권익위원회 교육 참여
- 회계, 예산 담당자 직무 청렴교육 실시
- 부패 공익신고 제도 관련 교육 2회 실시(138명)
- 감사 청렴리더십 공유 및 소속기관 직원 윤리경영 가치 내재화를 위한 15회 순회교육 실시
|
인권윤리경영 실천 노력 대내외 화산 및 환류 |
- 심리상담제도(EAP) 도입으로 업무스트레스 등 감정치유 지원
- 직원 권익강화 및 법률 지원을 위한 사내법률 상담 지원
- 지역의사협의회와 엽업으로 외국인근로자 정기 무료진료서비스 7,470건 제공
- 일학습병행제 훈련승인요건 강화(고용보험 가입 → 4대 보험 가입)으로 학습근로자 권익향상
|